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1-1. 여랑야랑 김유빈 기자와 함께합니다. [첫 번째 주제] 보겠습니다. 민주당 의원들이랑 촛불이 보이네요. 민주당이 뭘 집계하지 않은거죠? <br><br>바로 어제 열린 4차 장외집회의 참석자 수입니다. <br> <br>민주당, 장외집회 마다 당 추산한 인원을 알려왔거든요? <br> <br>그런데 이번 집회부터는 집계 안한다고 합니다. <br> <br>이유가 뭘까요? <br> <br>[박성준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 4일, CBS 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')]<br>"한 30만 명 가까이 왔고요. 서울역에서 시청역까지 한 4차선 도로를 꽉 메워주셨는데."<br> <br>[전용기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 4일, CBS 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')]<br>"한 바퀴 다 돌려면 진짜 한두 시간 걸렸다는 이야기까지 있거든요."<br> <br>[김민석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(오늘)]<br>"어제 촛불 시민의 수가 차고 넘쳐 집계 불가였습니다. 카운트리스 countless 국면입니다." <br><br>셀 수 없을 만큼 사람이 와서 집계가 안 된다고 말한 겁니다. <br> <br>Q1-2. 사실 단순히 숫자로만 보면 말이죠. 갑자기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왔다. 좀 더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. <br><br>시민 단체가 밝힌 어제 집회 추산 인원이 10만 명이었거든요? <br> <br>이전 집회에 민주당이 밝혔던 30만 명 규모와 비교하면 숫자는 확연히 적죠. <br> <br>도대체 뭐가 맞는지 화면을 좀 비교해봤습니다. <br> <br>어제 저녁 광화문 앞을 메운 시민 행렬입니다. <br> <br>지난 주 토요일 같은 위치를 촬영한 장면을 함께 비교해보면요. <br> <br>광장 부근엔 사람이 없는 대신, 건너편 담벼락 부근엔 빼곡하게 인파가 많은데요. <br> <br>다만 지난 주와 어제 집회, 집회 참가자 밀집 정도가 달라서, 영상만으로는 늘었는지, 줄었는지, 답을 찾기 어렵습니다. <br> <br>Q1-3. 집회 규모를 굳이 추산하지 않기로한 다른 이유도 좀 들립니까? <br><br>시민단체에 장외집회 주도권을 넘기겠다, 국민 참여율을 높이겠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다만 속내도 좀 있다는 이야기 들려요. <br> <br>이재명 대표 1심을 앞두고 사법부 압박으로 비춰질만한 것들 파란색 의상이라든가, 깃발, 연설, 심지어 집회 인원 추산까지, 전부 거리를 두는 모습이란 겁니다. <br><br>이재명 대표 재판에 당 전체가 신경을 기울이는 것의 일환이라는 거죠. <br> <br>Q2-1. [두 번째 주제] 보겠습니다. 인물들이 많이 보이는데, 이준석으로부터 영감, 무슨 뜻입니까? <br><br>네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이 국민의힘도 인물난은 참 인물난이라면서, 한동훈, 이준석 두 사람을 동시에 겨냥했습니다. <br> <br>Q2-2. 국민의힘 당 대표 출신인 걸 제외하면, 둘의 공통점이 뭡니까? <br><br>한동훈 대표가 오늘 동덕여대 시위참가 일부 학생들의 과격 행위를 비판했잖아요. <br> <br>이준석 의원도 며칠 전 같은 입장으로 비판했고요. <br> <br>이걸 문제삼은 겁니다. <br> <br>[한동훈 / 국민의힘 대표 (지난 20일)]<br>"제가 백블 안 받는다고 했고요."<br> <br>Q2-3. 한 대표랑 이 의원은 어떤 입장입니까? <br><br>제가 접촉해봤는데요. <br> <br>양측 모두 황당하다는 반응입니다. <br> <br>한 대표 측은 그저 폭력 시위에 대한 원론적 입장이었다, 이 의원 측도, 불법시위 규탄은 정치인으로서 당연한거라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정치의 역할 중 하나가 우리 사회 갈등을 현명하게 해소하는 거잖아요. <br> <br>갈등을 풀어야 할 정치인들끼리 갈등하고 있을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. (갈등해소)<br><br /><br /><br />김유빈 기자 eubini@ichannela.com